AWS

· AWS
Github + Jenkins + AWS EC2를 활용해 CI/CD를 구축해보자 ❕   1. AWS EC2 (Elastic Compute Cloud) 1-1. EC2란EC2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, 아마존이 전세계적으로 구축한 데이터 센터의 서버 컴퓨터들의 자원을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. 여기서 Elastic은 가상 서버를 사용한 만큼 탄력적으로 비용과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.  1-2. EC2 특징유연성서버를 런칭하고 종료하는 것이 간단하고 빠르다.수평 및 수직 Scailing을 통해 사용량에 따라 인스턴스 조절이 가능하다. 안정성네트워킹 및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. 비용 및 위치사용한만큼 비용을 지불한다.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인스턴스를 시작..
· AWS
AWS S3를 이용해 파일업로드 기능을 구현해보자 ❕  지난 글에서 S3 버킷을 생성하고 권한을 설정했다. 이번에는 파일 업로드하는 기능을 코드로 구현해보려고 한다. AWS S3 - 개념 및 버킷 설정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인 S3를 이용해보자❕ 1. AWS S3(Simple Storage Service) S3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. 이미지, 동영상 및 여러 형태의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chchaego.tistory.com   1. 구현구현 환경SpringMaven 1-1. 의존성 추가 및 application.properties 설정pom.xml org.springframework.cloud spring-cloud-starter-aws 2.2.5..
· AWS
AWS에서 제공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S3를 이용해보자❕   1. AWS S3(Simple Storage Service)S3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. 이미지, 동영상 및 여러 형태의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파일 서버 역할을 한다.S3를 이용하면 이미지나 html 파일 등 정적 리소스들을 URL만으로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.  S3는 뛰어난 확장성, 데이터 가용성, 보안,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.원하는 만큼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호할 수 있다.저장된 파일에 접근 권한을 지정할 수 있어 무단 접근을 막을 수 있다.많은 사용자가 접속해도 이를 감당하기 위해 시스템적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.최대 5T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.버전관리 기능을 통해 ..
chaego
'AWS' 카테고리의 글 목록